(전공복습) 데이터과학 4. 시각화
차례
BFS 문제.
트리키한 점은 직진을 최대 3칸까지 한번에 갈 수 있다는 점, 그때 목적지 뿐 아니라 중간이 막혀 있으면 갈 수 없다는 점, 회전을 좌우로만 할 수 있다는 점 정도가 있다.
첫 번째 부분은 step = range(1, 4)
를 선언해서 방향에 대한 각 스텝의 경우를 모두 확인했다.
두 번째 부분은 board[x+dx][y+dy]
가 막혀 있으면 continue
가 아니라 break
를 함으로써 해결했다. 스텝은 낮은 수부터 시작하므로 중간이 막혀 있으면 더 큰 스텝을 확인하지 않고 탈출한다.
세 번째 부분은 turn = ((2, 3), (0, 1))
을 선언하고 turn[d//2]
를 참조해서, d in (0, 1)
(동 또는 서)인 경우는 다음 방향으로 (2, 3)
을, 그렇지 않은 경우는 다음 방향으로 (0, 1)
을 선택하도록 만들었다.
그 외엔 다른 BFS 문제와 크게 다르지 않다.
특이하게도, Python 정답자 1등(60ms)의 답안이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걸로 되어 있던데, board
격자 그래프상에서 명령어 개수 상의 최단거리를 구하고 방향은 그냥 도는 데 필요한 코스트를 계산해서 케이스 별로 처리한 코드인 듯 하다. 아무래도 회전을 탐색에 포함시키는 대신 하드코딩해서 빠른 게 아닐까 생각한다.
#!python
from sys import stdin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tdin.readline
# visited[i][j][k]: (i, j)에서 k 방향인 노드의 방문 여부
m, n = map(int, input().split())
board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m)]
visited = [[[False for _ in range(4)] for _ in range(n)] for _ in range(m)]
#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므로 1씩 빼줬다
src = list(map(lambda x: int(x) - 1, input().split()))
dst = list(map(lambda x: int(x) - 1, input().split()))
# q: BFS 위한 큐
# go: 직진시 갈 수 있는 4방향
# step: 직진할 때 갈 수 있는 거리
# turn[0]: 동(0) 또는 서(1)인 상태에서 다음 방향, 즉 남(2), 북(3)
# turn[1]: 남(2) 또는 북(3)인 상태에서 다음 방향, 즉 동(0), 서(1)
q = deque([src + [0]])
go = ((0, 1), (0, -1), (1, 0), (-1, 0))
step = range(1, 4)
turn = ((2, 3), (0, 1))
# BFS 수행
while q:
x, y, d, c = q.popleft()
if visited[x][y][d]:
continue
if [x, y, d] == dst:
print(c)
break
visited[x][y][d] = True
# 회전하는 경우
for dd in turn[d//2]:
q.append((x, y, dd, c + 1))
# 직진하는 경우
for s in step:
dx, dy = go[d][0] * s, go[d][1] * s
if not (0 <= x + dx < m and 0 <= y + dy < n) or board[x+dx][y+dy]:
break
q.append((x + dx, y + dy, d, c + 1))
문제 링크 문제 링크
개요 선형적인 자료구조에서는 값에 접근하는 데에 \(O(1)\)이면 충분하지만, 대신 부분합을 구하는 데에는 \(O(N)\)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이 자료구조를 이진 트리로 구성하면 어떨까? 값에 접근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O(\lg N)\)으로 늘어나지만 대신 부분합을 구하...
개요 다익스트라 알고리즘과 함께 Single Sourse Shortest Path(SSSP) 문제를 푸는 알고리즘이다. 즉, 한 노드에서 다른 모든 노드로 가는 최단 경로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보다 느리지만, 음수 가중치 간선이 있어도 작동하며, 음수 가중치 사...
개요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Single Sourse Shortest Path(SSSP) 문제를 푸는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즉, 한 노드에서 다른 모든 노드로 가는 최단 경로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단,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음수 가중치 엣지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벨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