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복습) 데이터과학 4. 시각화
차례
유명한 히스토그램 문제.
스택을 이용한 풀이와 세그먼트 트리 및 분할정복을 이용한 풀이가 있는데, 스택을 활용했다.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결국 넓이가 최대인 사각형은 최대 n
개의 높이를 가지는 사각형들 중 가장 큰 것이라는 점이다.
히스토그램을 순회하면서 스택에 막대를 넣는다.
이때, 막대들은 히스토그램에서의 인덱스로 표현된다(그래야 각 막대의 시작 지점을 알 수 있으므로).
만약 탑보다 더 작은 막대가 들어오면, 그 막대를 높이로 하는 사각형은 더이상 커질 수가 없다.
따라서 팝하여 넓이를 계산해주고, 이를 반복하면 된다.
마지막에 스택에 남은 막대들은 너비가 히스토그램 전체인 경우이므로 따로 계산해주면 된다.
#!python
from sys import stdin
input = stdin.readline
n = int(input())
his = [int(input()) for _ in range(n)]
stack = []
ans = 0
# 히스토그램을 순회함
for i in range(n):
while 1:
# 만약 스택이 비었거나 새로운 막대가 더 크다면 스택에 막대를 넣는다
if not stack or his[stack[-1]] <= his[i]:
stack.append(i)
break
# 그렇지 않은 경우 그렇게 될 때까지 스택에서 막대를 꺼내 넓이를 계산한다
r = i - 1
c = stack.pop()
l = 0 if not stack else stack[-1] + 1
ans = max((r - l + 1) * his[c], ans)
# 마지막에 스택에 남은 막대의 넓이 계산
for i, e in enumerate(stack):
r = n - 1
l = 0 if not i else stack[i - 1] + 1
ans = max((r - l + 1) * his[e], ans)
print(ans)
문제 링크 문제 링크
개요 선형적인 자료구조에서는 값에 접근하는 데에 \(O(1)\)이면 충분하지만, 대신 부분합을 구하는 데에는 \(O(N)\)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이 자료구조를 이진 트리로 구성하면 어떨까? 값에 접근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O(\lg N)\)으로 늘어나지만 대신 부분합을 구하...
개요 다익스트라 알고리즘과 함께 Single Sourse Shortest Path(SSSP) 문제를 푸는 알고리즘이다. 즉, 한 노드에서 다른 모든 노드로 가는 최단 경로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보다 느리지만, 음수 가중치 간선이 있어도 작동하며, 음수 가중치 사...
개요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Single Sourse Shortest Path(SSSP) 문제를 푸는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즉, 한 노드에서 다른 모든 노드로 가는 최단 경로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단,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음수 가중치 엣지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벨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