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BOJ) 17070 파이프 옮기기 1 파이썬(Python)

문제 링크

처음엔 BFS로 접근하되, 모든 경우의 수를 전부 구해야 하므로 visited 배열 없이 접근했다.
그런데 계속 잘 가다가 TLE가 떠서, 확인해 보니 추가 시간 없음이라 “파이썬” 당한 거였다.
BFS로 푸려고 최적화를 위한 온갖 노력을 다 해보았지만, 안 되는 것 같아 포기하고 DP로 풀었다.

DP로 푸는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다:
파이프는 오직 한 방향(우측/하단)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되돌아가지 못한다. 즉 배열의 이전 값이 이후 값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특정 좌표까지 가는 방법의 수는 그 이전 좌표까지 가는 방법의 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DP 배열은 3차원(x, y축, 방향)으로 총 N * N * 3 크기가 된다(혹은 2차원 배열에 값이 3개씩 들어 있다고 봐도 된다. 그게 그거지만).

n = int(input())

arr = tuple([tuple(input().split()) for _ in range(n)])
dp = [[[0] * 3 for _ in range(n)] for _ in range(n)] # 0: 가로 / 1: 세로 / 2: 대각선
dp[0][1][0] = 1                                      # 처음 파이프 끝의 위치

# 맨 윗 줄의 파이프 이동 배열
for i in range(1, n):
    if arr[0][i] == '1':
        break
    dp[0][i][0] = 1

# 본격적인 DP
for i in range(1, n):
    for j in range(1, n):
        if arr[i][j] == '1':
            continue
        dp[i][j][0] = dp[i][j-1][0] + dp[i][j-1][2]
        dp[i][j][1] = dp[i-1][j][1] + dp[i-1][j][2]
        if '1' in (arr[i-1][j], arr[i][j-1]):
            continue
        dp[i][j][2] = dp[i-1][j-1][0] + dp[i-1][j-1][1] + dp[i-1][j-1][2]

print(sum(dp[n-1][n-1]))

2024

맨 위로 이동 ↑

2023

세그먼트 트리

개요 선형적인 자료구조에서는 값에 접근하는 데에 \(O(1)\)이면 충분하지만, 대신 부분합을 구하는 데에는 \(O(N)\)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이 자료구조를 이진 트리로 구성하면 어떨까? 값에 접근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O(\lg N)\)으로 늘어나지만 대신 부분합을 구하...

벨만-포드 알고리즘

개요 다익스트라 알고리즘과 함께 Single Sourse Shortest Path(SSSP) 문제를 푸는 알고리즘이다. 즉, 한 노드에서 다른 모든 노드로 가는 최단 경로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보다 느리지만, 음수 가중치 간선이 있어도 작동하며, 음수 가중치 사...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개요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Single Sourse Shortest Path(SSSP) 문제를 푸는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즉, 한 노드에서 다른 모든 노드로 가는 최단 경로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단,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음수 가중치 엣지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벨만-...

맨 위로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