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BOJ) 1600 말이 되고픈 원숭이 파이썬(Python)

문제 링크

BFS 최단거리 문제.
그런데, 최대 k번 체스의 나이트처럼 움직일 수 있다.
처음엔 그냥 그 경우만 추가해서 BFS를 했는데 틀렸다.
생각해보면, 평범하게 visited 리스트를 사용해서 방문 여부를 검사하면, 아래와 같은 TC에서 잘못된 답을 내놓는다.

1  
5 5  
0 0 1 1 1  
1 0 1 1 1  
1 0 1 1 1  
1 1 1 1 1  
1 1 0 0 0  

먼저 말처럼 움직여서(이하 ‘점프’라고 칭한다) (2, 1)로 움직이면, 아래로 넘어갈 수 없으므로 더이상 갈 수 없다.
목표지점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우선 (2, 1)까지 원숭이처럼 움직인 후, (4, 2)로 점프해야 한다.
하지만, 이미 점프해서 (2, 1)에 방문했기 때문에 visited[2][1]True가 되면서, 원숭이처럼 움직여서는 그곳에 갈 수 없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visited에는 방문 여부 대신 방문했을 때 남은 점프 횟수를 기록한다.
만약, 노드를 방문했을 때, 이전보다 남은 점프 횟수가 더 많다면, 해당 방법으로만 갈 수 있는 길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갱신한다.
그 외에는 다른 BFS 문제와 동일하다.

#!python

from sys import stdin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tdin.readline

k = int(input())
w, h = map(int, input().split())
board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h)]
# visited[i][j]는 (i, j)에서 남은 k(말처럼 점프할 수 있는 횟수)가 몇인지 기록
# 이미 방문했지만 나중에 써야 할 점프를 이미 써버린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
visited = [[-1 for _ in range(w)] for _ in range(h)]
q = deque([(0, 0, 0, k)])

# BFS
while q:
    # x, y : 원숭이의 좌표
    # i : 지금까지 이동횟수
    # j : 남은 말처럼 움직일 수 있는 횟수
    x, y, i, j = q.popleft()
    # 이미 더 많은 남은 점프 횟수를 가지고 방문한 적이 있거나 막혀 있으면 패스
    if visited[x][y] >= j or board[x][y]:
        continue
    # 만약 종점이면 답 출력하고 탈출
    if (x, y) == (h - 1, w - 1):
        print(i)
        break
    # visited[x][y]를 남은 점프 횟수로 갱신
    visited[x][y] = j
    # 원숭이처럼 한칸 움직이는 경우
    for dx, dy in [(1, 0), (0, 1), (-1, 0), (0, -1)]:
        if not (0 <= x + dx < h and 0 <= y + dy < w):
            continue
        q.append((x+dx, y+dy, i+1, j))
    # 말처럼 움직일 수 있는 횟수가 남아야 아래 코드 실행
    if not j:
        continue
    # 말처럼 점프하는 경우
    for dx, dy in [(-2, -1), (2, -1), (-2, 1), (2, 1), (1, 2), (-1, 2), (1, -2), (-1, -2)]:
        if not (0 <= x + dx < h and 0 <= y + dy < w):
            continue
        q.append((x+dx, y+dy, i+1, j-1))
# 방법이 없는 경우 -1 출력
else:
    print(-1)

2024

맨 위로 이동 ↑

2023

세그먼트 트리

개요 선형적인 자료구조에서는 값에 접근하는 데에 \(O(1)\)이면 충분하지만, 대신 부분합을 구하는 데에는 \(O(N)\)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이 자료구조를 이진 트리로 구성하면 어떨까? 값에 접근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이 \(O(\lg N)\)으로 늘어나지만 대신 부분합을 구하...

벨만-포드 알고리즘

개요 다익스트라 알고리즘과 함께 Single Sourse Shortest Path(SSSP) 문제를 푸는 알고리즘이다. 즉, 한 노드에서 다른 모든 노드로 가는 최단 경로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다익스트라 알고리즘보다 느리지만, 음수 가중치 간선이 있어도 작동하며, 음수 가중치 사...

다익스트라 알고리즘

개요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Single Sourse Shortest Path(SSSP) 문제를 푸는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즉, 한 노드에서 다른 모든 노드로 가는 최단 경로를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단,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음수 가중치 엣지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벨만-...

맨 위로 이동 ↑